황씨신문

시인 약력 소개

황씨신문 (http://sulfur.pe.kr)
* 강소천 (姜小泉, 1915~1963) : 함남 고원. 아동문학가.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동시 「닭」이 새겨져 있는 시비가 있음.


* 고은 (高銀, 1933∼ ) : 전북 군산. 본명은 은태(銀泰).


* 김광균 (1913~1993) : 경기도 개성. 1936년 『시인부락』, 1937년 『자오선』의 동인으로 참가하며 모더니스트 시풍의 회화적인 주지시를 썼음. 해방 후 작품 발표 안함. 1990년 제2회 정지용 문학상 수상. 시집으로 『와사등(瓦斯燈)』(1939), 『기항지(寄港地)』(1947), 『황혼가(黃昏歌)』(1957), 『황조가(黃鳥歌)』(1969)가 있음. 「추일 서정」, 「대낮」, 「설야」, 「기적」, 「은수저」.


* 김광섭 (1906~1977) : 함북 경성. 「마음」, 「성북동 비둘기」.


* 김동리 (金東里, 1913~1995).


* 김동명 (金東鳴, 1900~1968) : 강원도 강릉. 교사, 정치가, 정치 평론가, 언론인 등을 지냄. 시집으로 『진주만』, 『파초』, 『목격자』 등이 있음.


* 김상옥 (1920~ ) : 경남 충무. 「사향(思鄕)」.


* 김수영 (1921~1968).




* 김용호 (金容浩, 1912~1973) : 경남 마산. 호는 야돈(耶豚) 또는 추강(秋江). 시집으로 『향연』, 『낙동강』, 『부동항』, 『해마다 피는 꽃』, 『푸른 별』, 『날개』 등이 있음. 「가을의 동화」.


* 김종길 (1926~ ) : 경북 안동. 「설날 아침에」.


* 김초혜 (1943~ ) : 충북 청주. 작가 조정래의 아내. 「사랑굿 118」.


* 김춘수 (1922~ ) : 경남 충무. 「너와 나」, 「꽃」, 「꽃을 위한 서시」, 「타령조」.


* 나희덕 (1966~ ) : 충남 논산. 「푸른 밤」. 1998년 제17회 김수영문학상 수상.


* 박두진 (1916~1998) : 경기 안성. 「어서 너는 오너라」 (1946), 「해」, 「묘지송」, 「낙엽송」, 「꽃」, 「도봉」.


* 박목월 (朴木月, 1916~1978) : 경북 경주. 「윤사월」, 「나그네」, 「청노루」, 「산이 날 에워싸고」, 「나무」, 「물새알 산새알」, 「난」.


* 박성룡 (1932~ ) : 전남 해남. 「풀잎」, 「과목」.


* 박이문 (1930~ ) : 충남 아산. 본명은 인희. 불문학 박사. 철학 박사. 현재 포항공대 교수. 시집으로 『나비의 꿈』이 있으며 저서로는 『시와 과학』, 『노장 사상』, 『종교란 무엇인가』, 『철학 전후』, 『나의 출가 ; 영원한 물음』 등이 있음. 「무의미의 의미」.


* 박인환 (朴寅煥, 1923~1956) : 강원도 인제. 평양 의전 중퇴, 신문기자 지냄. 《후반기》의 동인으로 모더니즘 운동에 가담하여 비평성과 서정성의 조화를 시도. 합동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박인환 선시집』 등.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


* 변영로 (1898~1961).


* 서정주 (1915~2001) : 2002년 8월 14일 민족문제연구소 등 5개 단체가 `친일문학에 대한 문학인 공개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친일문인 42명의 명단 중 시 분야에 이름이 들어있음. 「화사」, 「국화 옆에서」, 「신록」, 「동천」, 「춘향 유문」.


* 신경림 (1935~ ) : 충북 충주. 「가난한 사랑 노래」.


* 신동엽 (1932~1969).


* 신석정 (1907~1974).


* 신석초 (申石艸, 1909~1976) : 충남 서천. 「바라춤」.


* 안도현 (1961~ ) : 경북 예천.


* 유치환 (1908~1967).


* 윤석중 (1911~2003) : 아동문학가. 수많은 동요와 동시를 지었음.


* 이문구 (1941~2003) : 충남 보령. 소설가. 대표작으로 『관촌수필』 (1972~1977), 소설집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2000년 제31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등이 있음. 「산 너머 저쪽」.


* 이병기 (1891~1968) : 전북 익산. 호는 가람(嘉藍). 시조시인, 국문학자. 「수선화」.


* 이수복 (1924~1986) : 전남 함평. 시집으로 『봄비』 (1969)가 있음. 「봄비」.


* 이영도 (1916~1976) : 경북 청도. 1947년부터 67년까지 계속됐다는 유치환의 편지를 모은 서간집 『사랑했으므로 행복하였네라』 (1967)의 주인공. 「단풍」.


* 이한직 (1921~1976) : 전주. 「낙타」.


* 이해인 (1945~ ) : 강원 양구. 「어느 수채화」.


* 장만영 (張萬榮, 1914~1975) : 황해도 백천. 그림과 같이 맑고 선명한 시풍의 시를 남김. 시집으로 『양』 (1937), 『축제』 (1939), 『유년송』, 『밤의 서정』, 『저녁 종소리』 등이 있음.


* 정호승 (1950∼ ) : 경남 하동. 시집으로 『슬픔이 기쁨에게』 (1979),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 등이 있음.


* 조남두 (趙南斗.1927∼  )


* 조병화 (1921~2003) : 경기도 안성. 모더니즘의 시, 소시민의 생활, 관념적인 시 등 다양한 계열과 소재로 많은 작품을 발표. 시집으로는 『버리고 싶은 유산』, 『사랑의 가기 전에』, 『고독한 하이웨이』 등이 있음.


* 조지훈 (1920~1968) : 경북 영양. 본명 동탁(東卓). 1939년 「고풍 의상」으로 등단. "청록파"의 한 사람. 후에 역사 의식을 중시, 민족 정서를 표현. 고대 교수 지냄. 시집으로『청록집』, 『역사 앞에서』가 있으며, 저서로 『시의 원리』가 있음.


* 천상병 (1930~1993) : 1930년 경남 창원. 55년 서울대 상과대 수학. 52년 『문예』에 시 「강물」, 「갈매기」가 추천되어 등단. 시집으로 『새』(1971), 『주막(酒幕)에서』(1979), 『저승 가는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 등이 있음.


* 한하운 (韓何雲, 1920~1975).


* 허영자 (許英子, 1938~ ) : 경남 함양. 숙명여대 국문과 졸업. 여성동인회 《청미회(靑眉會)》를 조직. 현재 성신여대 교수. 1986년 제20회 월탄 문학상, 1992년 제2회 편운 문학상, 1998년 제3회 민족문학상 수상. 시집으로 『가슴엔 듯 눈엔 듯』(1966), 『친전(親展)』(1972),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1977), 『빈 들판을 걸어가면』(1984), 『조용한 슬픔』(1990)이 있음. 「자수」 (1966).


* 황금찬 (1918~ ) : 강원 속초. 「산새」.
미만부

새 글

  1. 투 매니 본즈 언더토우 이노 펀딩 5/26 (금) ~ 6/26
  2. 투 매니 본즈 2쇄와 확장 이노 펀딩 5/26 (금) ~ 6/26
  3. 언더독게임즈 2023 온라인 보드게임콘 ~ 5/28 (일)
  4. 언더독게임즈 2023년 6월 소식지
  5. 마코코 출시 특가 5/25 (목) ~ 6/13 (화)
  6. 아스모디코리아 2023 썸머 플레이 앤 레저 페스타 5/22 (월) ~ 6/4
  7. MTS 2023 온라인 보드게임콘 5/24 (수) ~ 6/14
  8. 더 루프 확장 푸질라의 복수, 모피여단 출시 특가 5/24 (수) ~ 6/7
  9. 보드라이브 생방송 특가, 보드엠 포션 폭발 외 패밀리 보드게임 창고개방..
  10. 라온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