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씨신문

2006년 1월 9일

2005년 창작 만화주제가 분석

내가 만화주제가 분석을 빼놓을 수 없지.

2005년 방영하기 시작한 만화영화 가운데 만화주제가로 창작곡을 쓴 작품은 모두 27 (아니면 최소 24)개이고, 노래로는 모두 40곡 (아니면 최소 36곡)이다. 방송국별로 따지면 역시 국산 만화영화를 가장 많이 방영하고 있는 KBS가 12 작품으로 월등하게 많고, 창작 만화영화 주제가 음반을 꾸준히 내고 있는 투니버스가 4 작품으로 그 다음이다.

최근 몇 해 동안 경향을 보면, KBS는 국산 만화영화는 물론 주제가를 모두 창작곡을 쓰고 있지만, 디즈니 작품을 뺀 나머지 수입 만화영화들도 주제가를 모두 창작곡으로 쓰고 있다. 반면 SBS와 MBC는 수입 만화영화는 주제가를 창작곡을 쓰기도 하고 원곡을 가져다가 쓰기도 하는데, 일본 작품일 경우 창작곡을 쓰기보다는 원곡을 가져다가 쓰는 일이 많은 것 같아 보이지만 거기에 어떤 기준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반드시 만화주제가로 창작곡을 써야 하는 것도 아니고 원곡을 가져다가 노랫말만 우리말로 붙여서 부르는 게 꼭 나쁜 것도 아니지만, 어째서 방송국마다 하는 게 이렇게 다른지 그건 정말 궁금하다.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작품 가운데는 원곡을 쓰지 못해서 창작곡을 쓴 게 있다는 것 같기도 하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일본 원곡을 쓰기도 했다는 것 같던데, 왜 KBS에는 그런 작품이 없을까? 왜 KBS는 일본 작품도 모두 창작 만화주제가를 쓸까? KBS에서는 창작곡을 쓸 수 없는 작품은 아예 수입하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공중파 방송이라서 케이블 방송보다는 우위에 선 입장이니까 우리는 창작곡을 쓰겠다는 조건으로 작품을 수입하고 있는 것일까?

SBS나 MBC는 어떨까? 여기는 KBS와 똑같이 공중파 방송국인데 여기는 왜 원곡에 노랫말만 우리말로 붙여서 만든 주제가를 많이 쓰는 걸까? 방송국에서 만화영화 쪽에 배정한 돈이 KBS보다 적어서 창작곡을 만들 수 없는 걸까? 아니면 KBS에서 만화영화를 우리말로 녹음해 만드는 사람들이 유별나서 다른 방송국 사람들과는 생각이 다른 걸까? 예전에는 KBS도 일본 원곡을 가져다가 쓰기도 했고 SBS도 지나다가 고개를 휙 돌릴 정도로 멋진 주제가를 만들기도 했는데 지금은 왜 그럴까? 정말 궁금하다.

2005년 창작 만화영화 주제가 목록

  1. KBS 트라이킹덤 OP - 강동수 작곡, 홍종명 노래
  2. KBS 트라이킹덤 ED - 강동수 작곡, 안정아 노래
  3. KBS 명탐정 빠쎄 - 안성일 작사, 공진석 작곡, 김준 노래
  4. KBS 내 친구 우비소년 2
  5. KBS 출동! 유니온 킹
  6. KBS 마스크맨 OP - 김진주 작사, 이한나 작곡, 이원자 노래
  7. KBS 마스크맨 ED - 김진주 작사, 이한나 작곡, 박보람 노래
  8. KBS 재동아 학교가자 OP - 이진희 작사, 김남윤 작곡, 남미리, 조진제, 오승연, 손종현 (?) 노래
  9. KBS 재동아 학교가자 ED - 이진희 작사, 김남윤 작곡, 남미리, 조진제, 오승연, 손종현 (?) 노래
  10. KBS 천하통일 파이어 비드맨 OP - 김연정 작사, 강승범 작곡, 정재윤, 이영미 노래
  11. KBS 천하통일 파이어 비드맨 ED - 김연정 작사, 강승범 작곡, 정재윤, 임지숙 노래
  12. KBS 카드왕 믹스마스터 OP - 김주희 작사, 방용석 작곡, 지무 노래
  13. KBS 카드왕 믹스마스터 ED - 김주희 작사, 방용석 작곡, 김현하, 이정은, 지무 노래
  14. KBS 동글동글 짝짝 - 민영문 작사, 강동수 작곡, 김윤아 외 꿈초롱 아이들 노래
  15. KBS 너구리와 숲속 친구들 (?) (주제가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확인 못 했음)
  16. KBS 말괄량이 삼총사 - 이원희 작사, 문장곤 작곡, 도윤숙 노래
  17. KBS 은하공주 디지캐럿 OP - 문장곤 작사, 작곡, 이선 노래, 제니스 음악
  18. KBS 은하공주 디지캐럿 ED - 문장곤 작사, 작곡, 문지영 노래, 제니스 음악
  19. SBS 마법신화 라그나로크 ED 「여행을 떠나요」 - 작사, 작곡, 노래 허인창
  20. SBS 마법소녀 위치 - 안수응 작사, 작곡, 이삭 노래
  21. SBS 파닥파닥 비행선 OP - ING-U 엔터테인먼트 (강인구, 양동규) 작곡 (?), 정여진, 원이 노래 (창작곡인지 아닌지 확인 못 했음)
  22. SBS 파닥파닥 비행선 ED - ING-U 엔터테인먼트 (강인구, 양동규) 작곡 (?), 신지아 노래 (창작곡인지 아닌지 확인 못 했음)
  23. SBS 하롱이의 영어나라 (?) (주제가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확인 못 했음)
  24. EBS 리아의 수학놀이 - 최병일 작곡 (?)
  25. MBC 섀도우 파이터
  26. MBC 장금이의 꿈 OP 「꿈을 이루자」 - 원일 작사, 임희선 작곡, 임희선, 칠공주 노래
  27. MBC 장금이의 꿈 ED 「달빛 소녀」 - 이승환 작사, 이승환, 황성제 작곡, 이승환, 정성미 노래
  28. Movie 왕후 심청 MV 삽입곡 - 성동환 작곡 (?)
  29. 투니버스 꼬마 마법사 레미 Vivace! 「사랑의 구조신호」 - 신동식 작사, 이창희 작곡, Tori 노래
  30. 투니버스 나루토 OP 「활주」 - 장동준 작사, 이세형 작곡, 편곡, BUZZ 민경훈 노래
  31. 투니버스 나루토 ED 「너는 내게…」 - 신동식 작사, 이창희 작곡, Tori 노래
  32. 투니버스 개구리중사 케로로 OP 「케로로 행진곡」 - 석종서 작사, 이용민 작곡, 양정화 노래, 석종서, 이용민 코러스
  33. 투니버스 개구리중사 케로로 ED 「흔들어」 - 이용민 작사, 작곡, 원투 노래
  34. 투니버스 드래곤볼 Z 2부 OP 「폭풍처럼」 - 신동식 작사, 이창희 작곡, 편곡, 방대식 노래
  35. 투니버스 드래곤볼 Z 2부 ED 「작은 평화」 - 신동식 작사, 박정식 작곡, 편곡, 회상 노래
  36. 챔프 조이드 신세기/제로 OP 「내일로 가는 길」 - 김주희 작사, 도목경, 방용석 작곡, 편곡, 신승훈 노래, Hollywood Manner 타이틀 음악
  37. 챔프 조이드 신세기/제로ED 「별의 노래」 - 김주희 작사, 양세련, 방용석 작곡, 편곡, 송송이 노래, Hollywood Manner 타이틀 음악
  38. 챔프 피규어 17 OP 「쌍둥이 자리」 - 김주희 작사, 정희구 작곡, 편곡, 치즈스파이 노래
  39. 챔프 피규어 17 ED 「Spring Breeze」 - 김주희 작사, 정희구 작곡, 편곡, 치즈스파이 노래
  40. EBS 뽀롱뽀롱 뽀로로 2 ED - 출연 성우들 (정미숙, 함수정, 김환진, 김서영) 노래

2005년에는 만화주제가 음반이 딱 하나밖에 나오지 않았다. 바로 투니버스 음반 『WE 3』인데, <기동아, 부탁해!> 주제가인 「유년시대」 (팀 노래)가 빠진 게 흠이다. 아직까지 『WE 3』를 사지 않았는데 어떻게 해서든지 『WE 4』에는 꼭 실렸으면 좋겠다.

부록으로 2005년에 나온 어린이 드라마 주제가 창작곡이 세 곡 있다. EBS에서 어린이 드라마를 꽤 방영하고 있긴 하지만 노랫말이 있는 주제가를 쓰는 일이 드문데 이번에 주제가가 있는 게 하나 나왔다.

2005년 어린이 드라마 주제가 창작곡 목록

  1. KBS 마법전사 미르가온
  2. KBS 641가족
  3. EBS 점프

한편 상업가수로는 버즈의 민경훈이 투니버스 만화영화 나루토 OP 「활주」를 불렀고, 이안이 KBS 어린이 드라마 <641가족> 주제가를 불렀다.

* 4339년 6월 17일 EBS 뽀롱뽀롱 뽀로로 2 ED가 추가됐으며, 자료수집이 완벽하지 않으므로 뒤에라도 내용이 바뀔 수도 있음.

목록
미만부

새 글

  1. 위즈스톤 보드게임 3종 출시 특가 6/5 (월) 저녁 7시 ~ 6/19 (월) 오전 9시
  2. 코보게 2023년 6월 5일 소식지
  3. 서머너 워즈 확장 늪지대 오크 종족 덱 (Summoner Wars (Second Edition): Swamp Orcs Fa..
  4. 서머너 워즈 확장 하이 엘프 종족 덱 (Summoner Wars (Second Edition): High Elves Facti..
  5. 한국보드게임산업협회 2023년 6월 소식지
  6. 나인 나이츠 (Nine Knights) *
  7. 킹스 크라운 (King's Crown) *
  8. 그레이트 킹덤 (Great Kingdom) *
  9. 타임 스토리즈 레볼루션: 캐번디시 (TIME Stories Revolution: Cavendish) *
  10. 허니 버즈 (Honey Buzz) *